안녕하세요 깡모모입니다 :)


여러분들 소주 좋아하시나요?

저는 맥주파인데 가끔 소주가 땡길때가 있어요..

깡모모는 영상을 전공했답니다.

대학 졸업반일때 촬영과 편집으로 밤샘작업을 하면서 처음으로 '소주가 달다'라는 느낌을 받았어요.

새벽 5~6시때의 기억입니다.

푸르스름하게 날이 밝아올때 북엇국에 소주한잔씩 하면서 피로를 달랬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요즘엔 정말 춥고 피곤할때 소주가 생각이 나요.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저도 나이가 적지는 않은가보다 싶네요.

지치고 힘든날 소주가 생각나다니요...ㅎ


오늘도 너무 치열한 전투를 끝마치고, 혼술을 했답니다.

고로..!

오늘은 의식의 흐름대로 포스팅을 해볼까 해요 ><


와인도, 맥주도 아니지만 오늘은 지역별 대표 소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경기소주_참이슬

요즘은 각 지역별 소주도 대형마트에만 가면 모두 접할수 있게 되었지만, 깡모모가 대학생때까지만 해도

타지역 술은 그렇게 쉽게 구할수 없었던것 같아요.

참이슬은 20년동안 소주업계 1위를 내놓지 않은 독보적 1위의 소주입니다.

대나무 숯으로 네번이나 걸러낸 깨끗한 증류수임을 강조하고 있죠.

제가 처음 마셨던 소주도 바로 참이슬입니다.

요즘은 도수가 조금 내려간, 후레쉬도 많이 판매되고 있지만, 저는 오리지날로 열심히 배운 기억이 나네요!

참이슬은 처음 술시당시 도수가 무려 23도였지만, 현재는 참이슬 후레쉬는 17.8도, 참이슬 클래식은 20.1도의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강원&경기소주_처음처럼

요세 저도 가장 즐겨마시는 소주입니다.

도수는 17.5도이며, 순한맛과 부드러운맛으로 나눠져 출시되고 있습니다.

목넘김이 부드러운것이 특징이에요.




#부산&경남소주_좋은데이, 화이트, C1

무학에서 생산되는 화이트는 경남권 소주에요.

알콯도수 19도로 개인적으로 쓴맛이 참이슬 오리지널보다 더 강한느낌이에요.


좋은데이도 화이트와 마찬가지로 무학에서 생산하는 소주로 도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16.9도로 일반 조수에 비해 매우 순한편입니다.


C1은 부산의 대선주조에서 생산되는 부산소주입니다.

특히나 C1블루는 19도로 낮지 않은 도수지만 목넘김이 부드러워서 도수가 높지않은착각을 일으키게 합니다.


최근 대선주조에서 새롭게 출시되는 부산소주중 대선이라는 소주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16.9도의 도수로 C1을 재치고 부산소주 1위의 랭킹을 기록하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대구&경북소주_맛있는참

경상도의 유명한 주류회사인 금복부에서 생산하는 소주입니다.

도수는 16.9도로 낮은도수에 속하는 소주입니다.

목넘김이 부드러운게 특징이라고 하는데 이건 저도 아직 마셔보지 못해서 궁금하네요!




#전북소주_하이트

처음에는 경남소주인 화이트와 동일한 소주인줄 알았던 술입니다.

어연히 다른 술로 하이트의 도수는 16도입니다.

낮은 도수만큼 은은한 향과 부드러운맛을 마케팅의 수단으로 삼고 있죠.




#광주&전남소주_잎새주

19도의 도수로 약간 센편에 속하는 소주입니다.

단풍나무 수액이 들어가, 매이플주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잎새주는 그에 걸맞게 깔끔하면서 끝맛이 약간 달콤한 맛이 특징입니다.




#대전&충남소주_o2린

이름처럼 술에 산소를 무려 3차나 용존시키는 기술로 특허를 낸 소주라고 합니다.

알싸한 끝맛이 포인트라고 하는데 한번 먹어보고 싶네요...






#충북_시원한 청풍

천연암반수로 만들어진다는 시원한 청풍은 뒷끝이 없는 소주로 마케팅을 하고있는 소주입니다.

도수는 18도로 흔히 우리가 접하는 다른소주들과 비슷한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도_한라산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제주도의 한라산도 소주계의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병도 다른 소주의 녹색병과 다르게 투명한 병을 하고 있습니다.

더 맑고 깨끗한 느낌이 드는건 저만의 생각인가요?

도수는 21도로 다른 소주에 비해 상당히 높은 도수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수에 비해 쓴맛이 적고 목넘김이 깔끔한 것이 장점입니다.



안녕하세요 깡모모입니다 :)


한국인들이 사랑하는 와인으로 1865를 빼놓을수가 없습니다.

1865도 마찬가지로 앞서 소개해드린, 몬테스알파와 함께 칠레와인에 속합니다.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은 칠레와인을 참 좋아하는것 같아요.


1865는 칠레 와인회사의 '산페드로(San Pedro)'의 대표상품입니다.

회사의 설립년도를 지칭하는 1865년을 기념하기 위해서 와인의 이름을 1865로 칭하게 되었습니다.

1865년 전세계 각국인 80여개의 나라에서 판매중인데, 단연코 한국이 최대소비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판매처인 백화점이나 주류할인점등에서 유통되는 와인의 종류는 약 2000가지인데, 1865는 그중에서

매해 판매순위 탑10위 안에 들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1865_성공마케팅

1865가 유독 국내에서 사랑받게된것은 성공적인 마케팅에 있습니다.


18홀 65타. 행운을 가져다주는 와인

18홀 65타라는 말은 골프에서 사용하는 용어인데, 18홀을 65타에 친다는 뜻입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8홀마다 각 홀마다 정해져있는 스코어를 달성하는 파(Par)를 모두 기록하게 된다하더라도 72타입니다.

때문에 65타는 아마추어 골퍼들에게는 꿈의 점수가 되는것이죠.

와인수입사인 금양은 1865 와인의 스토리를 이렇게 만든후, 비지니스 골프를 많이 치는 곳의 클럽하우스에서 일을 하는 소믈리에들에게

이 스토리를 설명해주며 와인유통을 권했다고 합니다.

이후 1865는 골프애호가들에게 행운의 의미를 지닌 와인으로 입소문타면서 인기가 치솟기 시작했고, 기념선물로도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습니다.


18살부터 65세까지

1865는 가격대에 비해 품질이 좋기로도 유명합니다.

강한향에, 검붉은 색까지 한국인이 좋아할만한 특징은 고루 갖추었습니다.

그래서 18세부터 65세까지 전 연령층이 즐기는 국민와인이라는 의미까지 가지게 되었습니다.




#1865_와인의 종류


1865 싱글 빈야드 까베르네 쇼비뇽 (1865 Single Vineyard Cabernet Sauvignon)

드라이한 레드와인의 종류입니다. 강하고 짙은 루비색의 빛깔이 나며, 풍부한 과일향이 특징입니다.

스테이크와 같은 육류나, 치즈와 조합이 좋습니다.


1865 싱글 빈야드 까르미네르 (1865 Single Vineyard Carmenere)

까르미네르 100%의 드라이한 레드와인입니다. 16~18도의 온도에서 음용하는것이 가장 좋으며, 

후추향과 강한 스파이시향이 특징이며, 바닐라향도 함께 납니다.

오크 숙성과정 덕분에 은은한 스모키향이 납니다.

그릴요리나, 바베큐와 같은 육류요리에 잘 어울립니다.


1865 싱글 빈야드 시라 (1865 Single Vineyard Syrah)

드라이한 레드와인입니다. 시라100% 품종으로, 16~18도의 온도에서 음용하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시라 특유의 부드럽고 은은한 향 덕에 많은 여성들이 좋아하는 와인입니다

자두와 같은 과일향 외에도, 스모키한맛과 달콤쌉싸름한 초콜릿향이 조화롭게 어울리며, 양고기와 잘 어울립니다.


1865 싱글 빈야드 말백 (1865 Single Vineyard Marbec)

드라이한 레드와인으로 말백100%의 품종으로 생산되었습니다.

진하고 화려한 루비색을 띠는 레드와인입니다.

풍부한 과일향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탄닌의 맛덕에 피니쉬가 유연합니다.

육류요리에 잘 어울리는 와인입니다.


1865 싱글 빈야드 소비뇽 블랑 (1865 Single Vineyard Sauvignon Blanc)

당도는 드라이한 편이며, 쇼비뇽 블랑 100%품종입니다.매우 연한 녹색과 노란색의 색감을 가지고 있는 화이트와인입니다.

8~10도의 온도에서 음용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산도는 적당한 편이고 약간의 단맛도 느껴집니다.

레몬, 자몽향이 나며 은은한 잔디향이 청량감을 더해줍니다.

여름에 마시기 좋은 와인으로 유명합니다.




1865는 선물용으로도 많이 판매되는 와인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골프백 파우치와함께 선물패키지로도

다양한 마케팅을 접목시키고 있습니다.




제 포스팅이 도움되셨다면 공감을 꾹~~눌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깡모모입니다 :)

저의 첫 추천와인 포스팅은 몬테스알파(Montes Alpha)로 장식해볼까 합니다.


몬테스 알파는 시리즈가 다양한데

국내에서 '대표 국민와인'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몬테스 지수'라고 불리울 만큼 각 나라의 와인가격의 지표가 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몬테스알파_브랜드히스토리

와인을 고를때, 선택이 어렵다면 칠레와인을 고르면 실패할 확률이 적다는말이 있듯이,

몬테스 알파도 칠레와인의 한 종류입니다.

와인라벨에 그려져 있는 천사는 성공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시리즈별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3~4만원대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칠레 와인의 개척자라고 불리우는 '아우렐리오 몬테스(Aurelio Montes)'에 의해 생산된 몬테스알파의 이름역시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아래에 한번더 설명해드리겠지만, 몬테스알파 까베르네 쇼비뇽은 특히,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칠레와인1위'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 '국민와인'으로 사랑받게 된 계기는 바로 2002년 월드컵 조추첨 행사가 이루어지는날에 있었습니다.

월드컵 공식위원회는 롯데호텔측으로 공식와인을 선정하기 위한 추천와인을 부탁하게 되고, 

바로 몬테스알파 까베르네쇼비뇽이 2002년 월드컵 공식와인으로 선정되게 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과 사랑을 한몸에 받게 되었습니다.







#몬테스알파_종류






몬테스알파 까베르네쇼비뇽 (Montes Alpha Cabernet Sauviogon)

칠레와인의 역사에 있어서 최초로 '프리미엄 와인'이 된 와인입니다.

몬테스알파 까쇼는 까베르네쇼비뇽85%, 메를로15%로 품종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레드와인으로, 루비색을 띠면서 바닐라향과 민트향이 조화롭게 납니다. 

마실때의 온도는 17~18도가 적절합니다.

함께 먹기 좋은 음식으로는 스테이크가 좋습니다.


몬테스알파 샤르도네 (Montes Alpha Chardonnay)

몬테스알파 샤르도네는 화이트와인입니다. 이름과 같이 샤르도네 품종을 사용했으며, 세계적인 와인잡지등에서 항상 상위권으로 랭킹되고 있는,

몬테스 알파 라인중에서도 프리미엄급에 속하는 와인입니다.

잘 익은 과일에서 나는 꿀과 같은 향이 매력적인 와인입니다.

마실때의 적정온도는 11~13도가 좋습니다.

함께 먹기 좋은 음식으로는 훈제연어나, 굴과 같은 어패류 또는 스파게티 등이 있습니다.



몬테스알파 메를로 (Montes Alpha Merlot)

몬테스알파 메를로는 레드와인으로, 까베르네쇼비뇽과 동일한 품종이 사용되지만, 함유량은 반대로 메를로85%, 까베르네쇼비뇽이 15%입니다.

강한 과일향이 나면서, 담배향같은 후추향도 살짝 나는편입니다.

까베르네쇼비뇽과 마찬가지로 마실때의 온도도 17~18도가 좋으며 스테이크에 잘 어울리는 와인입니다.



몬테스알파 시라 (Montes Alpha Syrah)

레드와인으로 시라90%, 까베르네쇼비뇽10%의 품종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맛은 체리향이 나며, 향은 스모키한향이 납니다, 부드러운 탄닌의 발란스가 조화로운 와인입니다.

시라는 몬테스알파 시리즈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나온 시리즈이지만, 가장 고급스러운 와인이기도 합니다.

마실때의 온도는 17~18도가 적절하며, 스테이크에 잘 어울리는 와인입니다.


몬테스알파 M (Montes Alpha M)

몬테스알파M은 까베르네쇼비뇽 80%, 까베르네 프랑 10%, 메를로 5%, 메를로 베르도 5% 로 매우 다양한 품종이 섞여있습니다.

특히 몬테스알파엠은 보르도 블랜드방식으로 생산되어, 고상하고 귀족적인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일향과 후추의 스파이시한맛이 조화로워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2003년 APEC정상회담에서 공식와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레드와인으로 17~18도의 온도로 마시는것이 좋으며 마찬가지로 스테이크와 같은 음식에 잘 어울립니다.




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꾹~눌러주세요 :))

+ Recent posts